얼마 전 직장인들의 커뮤니티 블라인드에서 전자레인지에 10초 돌려야 할 음식을 10분 동안 돌려서 화재가 났다는 글을 봤습니다. 요알못인 저는 간단하게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음식을 데워먹는것까찌는 알지만 어떻게 하면 더 똑똑하게 사용할 수 있을지 알아봤습니다.
목차
1. 전자레인지의 원리
전자레인지는 차갑거나 딱딱한 음식을 빠르고 누구나 쉽게 조리할 수 있어 가정 내 하나씩은 꼭 있는 가전제품입니다. 정식명칭은 'microwave oven'이고 영어권에서는 보통 'microwave'라고 부릅니다. 전자레인지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것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원리인데요, 전자기파의 한 부분으로 진동을 가지는 파장입니다. 이런 파장이 전자레인지안에 들어간 물이나 당, 지방과 같은 분자를 만나 음식을 데우지요. 마이크로파는 유리, 종이, 플라스틱 같은 물질을 통과하는 성질을 가졌지만 금속과 같은 물질은 통과하지 못하여 사용 시 올바른 용기를 잘 알아보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 그러면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거든요.
2. 올바른 사용법
전자레인지 원리에 따른 단점을 기억하여 사용하면 좋습니다.
특히 전자레인지의 유해성 논란이 일어난 것은 전자레인지의 문제가 아니라 전자레인지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플라스틱 용기에서 흘러나온 유해물질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안전하지만 최고의 요리기구는 아닙니다. 겉면을 높은 온도로 가열해서 안쪽까지 침투하는 전통적인 요리방법이 아닌 내부의 열로 익힌다는 사실을 기억해야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가열될 수 있습니다. 회전판이 없는 경우에는 조리시간 내에 음식을 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 너무 빨리 가열됩니다. 고구마나 전분식품등을 미리 조리하지 않고 직접 익힐 경우에는 너무 빨리 익어서 전분이 당으로 변하는 효소활동 시간이 부족하여 맛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3. 사용가능 마크
1. 우측 마크 외에 전자레인지 용기라고 명시되어있거나 전자레인지 그림이 그려져있는 경우 | ![]() |
2. 식기세척 및 자외선, 적외선 소독기, 전자렌지, 열당소독 모두 가능한 마크 | ![]() |
3. 냉장고 및 냉동고에 보관할 수 있는 마크 | ![]() |
4. 환경 호르몬 및 독성이 없는 친환경 소재임을 나타내는 마크 | ![]() |
5. 인덕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마크 | ![]() |
6. 식기세척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마크 | ![]() |
!!여기서부터 플라스틱 용기입니다. 7.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졌으며 재활용 가능하고 전자레인지 사용도 가능 |
![]() |
8. PP (Polipropylene) 재활용 가능하고 전자레인지 사용도 가능 |
![]() |
9. OTHER (All other Resins) 재활용이나 전자레인지로의 사용가능여부는 알수없으나 전자레인지 사용가능한 마크가 붙어있으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4. 사용 시 뚜껑사용
주로 컵라면 제품을 전자레인지에 넣어서 돌리는 경우가 많은데 '전자레인지용' 용기를 사용하여 가열해야 하는 컵라면도 있습니다. 컵라면 뚜껑의 은박성분이 마이크로파를 투과하지 못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뚜껑을 완전히 제거한 후 전자레인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반드시 조리가능여부 확인해야 함) 또한 즉석밥이나 만두 등 플라스틱 필름으로 밀봉, 포장되어 있는 경우 밀봉된 채로 조리하면 수증기압 상승으로 제품이 터질 수 있으므로 뚜껑이나 포장을 조금 개봉한 후에 조리해야 합니다.
5. 사용가능한 그릇
전자레인지 사용가능한 그릇에는 종이, 유리, 도자기 등이 있습니다. 원리를 얘기할 때 말한 것과 같이 마이크로파가 이러한 재질의 용기는 통과하는 성질이 있어 사용가능합니다. 또한 도자기의 경우에는 전자레인지용으로 표시된 전용용기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6. 돌리면 안 되는 그릇
알루미늄, 호일, 스테인리스등의 금속재질의 모든 물건 | 스파크가 튀면서 불이 붙습니다. 금은박 무늬가 입혀진 그릇이나 찻잔, 컵라면의 은박 뚜껑등은 절대 전자레인지에 돌려서는 안됩니다. |
계란 (터지지않은 노른자 포함) | 날계란이나 반숙을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릴경우 폐쇄된 계란 내부 공간에 수증기가 쌓여 압력이 증가하다가 폭발하게 됩니다. 또한 노른자를 터트리지 않고 그냥 돌려고 노른자가 폭발합니다. 계란을 돌려야한다면 껍질을 꼭 깨야하고 계란이 터지는 시점이 1분이라고 한다면 터지기전이 40-50초경에 작동을 멈추고 10-20초정도 기다렸다가 3-4번 반복하면 완숙도 가능합니다. |
뚜껑을 따지 않은 유리병 음료 | 따뜻하게 먹는 유리병 음료 (쌍화탕) 같은 경우 만일 뚜껑을 제대로 열지않고 돌리면 내부가 폭발합니다. 거기다가 이런 병들은 뚜껑도 대부분 금속이라서 넣고 돌리자마자 스파크가 튑니다. 컵에 옮겨서 안전하게 데우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
7. 사용 불가한 플라스틱 마크
1. PETE, PET (Poly Ethylen Terephthalate) '페트병'이라고 부르는 재질로 재활용은 가능하고 전자레인지 사용은 불가능 |
![]() |
2. PVC (Vinyl, Polyvinyl Chloride) 재활용 할 수 없으며, 전자레인지 사용 불가능, 대부분 공업용 용기 |
![]() |
3.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재활용 가능하고 전자레인지 사용 불가능 |
![]() |
4. PS (Polystyrene) 재활용 가능하고 전자레인지 사용 불가능 |
![]() |
8. 전자레인지 청소 방법
- 식초 : 전자레인지를 돌릴 수 있는 그릇에 종이컵 기준 물 1컵과 식초 1~2스푼 정도 넣고 섞어줍니다. (식초를 너무 많이 넣으면 식초 냄새가 많이 나서 거북하게 느껴질 수도 있으므로 1~2스푼 정도면 충분!) 용액이 담긴 그릇을 3~5분 정도 돌려줍니다. 전자레인지가 돌아간 후 약 5분정도 기다려줍니다. (수증기가 찌든 때를 불릴 수 있도록 5분정도 기다린 후 닦아주면 더 잘 닦입니다) 전자레인지 내부는 젖은 행주로 닦아 준 뒤에 마른행주로 닦아서 청소를 마무리해 줍니다.
- 베이킹소다 : 전자레인지를 돌릴 수 있는 그릇에 종이컵 기준 물 1컵과 베이킹소다 1스푼 정도 넣고 섞어줍니다. 용액이 담긴 그릇을 3~5분 정도 돌려줍니다. 전자레인지가 돌아간 후 약 5분정도 기다려줍니다. (수증기가 찌든 때를 불릴 수 있도록 5분정도 기다린 후 닦아주면 더 잘 닦입니다) 전자레인지 내부는 젖은 행주로 닦아 준 뒤에 마른행주로 닦아서 청소를 마무리해 줍니다.
- 식초가 없는 경우에는 레몬, 오렌지, 귤, 라임과 같은 감귤류 과일을 조각내어 사용 : 전자레인지를 돌릴 수 있는 그릇에 감귤류 과일을 조각내여 그릇을 3~5분 정도 돌려줍니다. 전자레인지가 돌아간 후 약 5분정도 기다려줍니다. (수증기가 찌든 때를 불릴 수 있도록 5분정도 기다린 후 닦아주면 더 잘 닦입니다) 전자레인지 내부는 젖은 행주로 닦아 준 뒤에 마른행주로 닦아서 청소를 마무리해 줍니다.
9. 고장원인
- 전자레인지가 오래되어 부품에 기름과 먼지가 쌓여서 스파크가 나서 생기는 경우
- 전자레인지 밑이나 옆에 밥통이 있거나 싱크대 옆에 전자레인지를 두는 경우 발생한 습기가 전자레인지 전면의 기능 조작 회로판에 차게 되어 이상 동작을 하면서 생기는 경우
- 손잡이 개폐 시 무리한 힘을 가해서 생기는 온오픈 스위치가 고장 날 경우
10.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 전자레인지의 옆과 뒤 간격을 충분히 해줍니다.
- 물건으로 흡기구와 배기구의 순환에 방해가 되지 안 돌고 합니다.
- 전자레인지를 여닫을 때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습니다.
- 부품에 기름과 먼지가 끼지 않도록 평소에 청소를 잘해줍니다.
'일상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이트데이는 아시아에서만 챙긴대요! 화이트데이 정보 총정리 (유래,날짜,영어,선물순위,카드문구) (0) | 2023.02.02 |
---|---|
이번에도 달달하죠? 발렌타인데이 정보 총정리 (유래,날짜,영어,선물순위,카드문구) (0) | 2023.01.30 |
이번겨울 난방비 인상이유, 전망, 절약방법 총정리 '1도 낮추면 1달이 더 따뜻해져요' (0) | 2023.01.29 |
이거하면 연휴가 기다려질걸요? 설날 가족 모임 게임 10개 추천 (1) | 2023.01.19 |
2023을 빛낼 올해의 컬러 알아보기 2023 팬톤컬러 '비바 마젠타' (1) | 2023.01.16 |
댓글